코로나19 겨울철 재유행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는 오늘부터 2가 개량 백신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단일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로 구성된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에서는 앞으로 감염병 유행 시 방역 대책의 기준이 될 사회경제적 지표를 마련해 발표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직접 들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홍석철 /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원회 위원] <br />안녕하십니까.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 홍석철 위원입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위기는국민 건강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로를 통해 사회, 경제적 위기를 초래하고 국민의 사람의 질을 낮추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그동안 위중증 환자 수, 사망자 수, 병상가동률 등 방역·의료 지표를 중심으로 감염병 위기에 대응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감염병 위기에서 시작된 사회, 경제적 위기와 파급 영향 또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평가하여 대응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본 자문위원회에서는 감염병 위기와 방역정책이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사회경제지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드리고자 합니다.사회경제지표 모니터링을 구축하는 것은 감염병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큰 피해와 고통을 받는 위기계층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 거리두기 단계 조정 등 방역정책 의사결정 시 감염병 위험과 방역정책의 사회, 경제적 파급 효과를 고려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본 자문위원회에서는 크게 3개 영역에서단기적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사회, 경제지표 10개를 선정하고 예비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첫째, 경제 영역에서는 소비지출, 일자리, 소상공인에 미친 영향과 관련된 지표를 살펴보았습니다. <br /> <br />둘째, 사회 영역에서는 위기 가구, 사회고립, 의료접근성, 교육환경, 인구동향의 변화를 확인해 보았습니다. <br /> <br />마지막으로 수용성 및 위기인식 영역에 서는 인구이동과 위험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습니다. <br /> <br />예비 연구 결과 감염병 위기 확산과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방역정책은 사회경제의 다양한 측면에서 국민 삶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관측할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각 지표의 변화는 감염병 유행 특성, 방역과 지원정책의 변화뿐만 아니라다양한 대내외적 요인의 복합적 결과이기 때문에 인과성과 기여도를 엄밀하게 밝히는 것은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12811071936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